가. 기본양식
- 한글논문의 기본파일형태는 아래글(hwp)2007 이상으로 하고, 본 원고작성요령에 따른다.
- 영문논문의 경우,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Guidelines on Preparation of the Manuscript에 따라 작성한다.
- 여백 : 위쪽 37mm, 아래쪽 38mm, 왼쪽·오른쪽 35mm, 머리말 13mm, 꼬리말 12mm로 편집한다.
- 글자 : 장평 100, 자간 0, 줄간격 183을 기본으로 하며, 초록(국문·영문)은 고딕체 9포인트, 본문은 명조체 10포인트로 작성한다.
- 분량 : 기본 페이지 10페이지 이상 최대 35페이지 이내로 작성한다.
나. 초록
- 국문초록(제일 앞장)과 영문초록(제일 뒷장)으로 작성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 모두 초록의 첫머리는 들여쓰기를 하지 않으며, 문단을 구분하지 않고 한 문단으로 기술한다.
- 국문초록과 영문초록 모두 논문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주요어(Keywords)를 다섯 개 내외로 반드시 제시하며, 초록 내용으로부터 한 줄 간격을 띄어서 작성한다.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의 주요어(Keywords)는 상응하게 제시한다.
- 국문초록의 경우, 고딕체 9포인트로 600자 이내로 작성한다. 주요어는 5개 내외로 제시하며, 고딕체 9포인트로 작성한다.
- 영문초록의 경우, 고딕체 9포인트로 단어수 150-200자 이내로 작성한다. Keywords는 5개 내외로 제시하며, 모두 이탤릭체 소문자로 작성한다(단, 검사도구인 경우 약자는 대문자로, 검사도구의 명칭을 모두 쓸 때는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
- 초록이 있는 면 상단에 논문제목과 연구자의 인적사항(이름, 학교, 학과)을 한글과 영문으로 표기한다. 단, 투고 원고에는 연구자의 인적사항을 표기하지 않으며, 논문심사 후 게재 확정 판정을 받은 논문의 경우에 다음의 예와 같이 표기한다.
국문초록 영문초록 홍 길 동 Hong, Gil-Dong ○○대학교 □□학과 Dept . of □□, ○○ University - 인간발달연구 초록양식점검리스트에 제시된 내용이 모두 작성되었는지 점검하고, 논문투고시 초록양식점검리스트를 함께 제출한다(서식은 홈페이지 학회지자료실 참조).
다. 각주
- 투고 원고에는 각주를 표기하지 않으며, 논문심사 후 게재 확정 판정을 받은 논문의 경우에 다음의 내용을 표기한다.
- 연구지원기관, 포스터발표 여부, 학위논문 여부, 감사의 글 등은 *를 하고 국문초록 하단에 각주로 기재한다.
- 학위논문인 경우에는 논문작성자는 주저자로, 지도교수는 교신저자로 기재한다.
- 주저자와 교신저자를 포함한 모든 공동연구자는 번호표시를 하여 저자명이 있는 국문초록의 하단 각주에 소속, 직위, 메일주소(교신저자만 해당)를 다음 예와 같이 밝힌다. 공동저자가 있는 경우 첫 번째 위치에 기입된 자를 주저자로 한다.
- ◯◯대학교 □□학과, 박사과정
- 교신저자 : ◯◯대학교 □□학과, 조교수(E-mail: hgd@abc.ac.kr)
- 각주는 될 수 있는 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부득이한 경우에는 해당 문장 끝에 각주번호를 달아 해당 쪽 하단에 5행을 초과하지 않도록 기술한다.
라. 본문
- 명조체 10포인트, 장평 100, 자간 0, 줄간격 183으로 하여 작성한다.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의 순서로 작성한다.
- 본문의 장과 절은 Ⅰ, 1, 1), (1), ①의 형식으로 구성한다.
마. 본문 내 문헌인용
- 본문에서 문헌인용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하며, 연도 표시의 괄호는 앞 어절과 붙여 쓴다.
이복동(1970)은 Henry(2007)는 이복동과 김명기(1970)는 Henry와 Mashburn(2007)은 이복동, 김명기와 신영식(1970)은 Henry, Mashburn과 Konold(2007)는 이 연구(이복동, 1970)는 이 연구(Henry, 2007)는 이들의 연구(이복동, 김명기, 1970)는 이들의 연구(Henry & Mashburn, 2007)는 이들의 연구(이복동, 김명기, 신영식, 1970)는 이들의 연구(Henry, Mashburn, & Konold, 2007)는 이복동 등(1970)은 Henry 등(2007)은 이들의 연구(이복동 등, 1970)는 이들의 연구(Henry et al., 2007)는 ...와 같이 논했다(이복동 등, 1970). ...와 같이 논했다(Henry et al., 2007). - 저자 2인의 저작물을 인용하는 경우 “&” 앞에 쉼표(,)를 찍지 않는다.
- 저자 1인, 2인의 저작물을 인용하는 경우는 본문에 인용문이 사용될 때마다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한다.
- 저자 3인, 4인, 5인의 저작물을 2회 이상 인용할 경우, 처음으로 인용할 때는 모두 기재하고 두 번째 이후로는 ‘○○○ 등’ 이나 ‘○○○ et al.’ 로 기재한다.
- 저자 6인의 이상의 저작물을 인용하는 경우는 최초 인용 시부터 제 1저자의 이름만 쓰고 ‘○○○ 등’ 이나 ‘○○○ et al.’ 을 기재한다.
- 재인용의 경우 다음과 같이 표기하고 참고문헌 목록에는 재인용 문헌만을 제시한다.
...을 제시하였다(Hoffman, 1979: 김경혜, 1991에서 재인용).이희성(1990: 권양희, 1998에서 재인용)은...
- 동일저자인 경우, 오래된 연도순으로 기입하고, 같은 연도인 경우에는 제목순으로 연도 뒤에 영문 소문자(a, b, c...)를 써서 구별한다.
선행연구들(김혜영, 한길수, 1999a, 2003b, 2003c)에서는...
- 본문 내 문헌인용 시 한·영문 외 모든 글자표기(예: 일어, 중국어 등)는 영문으로 변환하여 작성한다.
사. 참고문헌
- 참고문헌에서의 문헌나열은 먼저 한글문헌을 가나다 순으로 나열하고 그 다음에 이어 서양어 표기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
- 첫 줄은 내어쓰고, 두 번째 줄은 한 탭 들여쓰기를 한다(약 6칸, 20포인트).
- 저자명과 연도 사이는 한 칸 띄어쓰기를 한다.
- 외국문헌에서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 앞에 반드시 쉼표(,)를 찍는다(본문 내 문헌인용 시와 다름).
Herman, J. Y., & Clark, A. A. (2015). Parenting behaviors, marital relationship, and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Children and Health, 25(1), 248-161.
- 학회지명과 권(호) 표기 시, 권수는 숫자로 제시하고, 호수는 소괄호 안의 숫자로 구분한다. 호수가 없는 학술지는 권수만 표기한다.
- 참고문헌의 논문 제목은 첫 글자와 콜론(:) 뒤 첫 글자만 대문자로 작성하며,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표기한다.
- 참고문헌 내 한·영문 외 모든 글자표기(예: 일어, 중국어 등)는 영문으로 변환하여 작성한다.
- 참고문헌 유형에 따른 작성요령은 다음과 같다.
- 학술지논문
- 학술지명과 권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DOI가 부여된 문헌의 경우 DOI를 기재한다.
강동단, 김천란, 천일야 (2021). 단서주기가 작업기억의 용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1), 20-25. http://doi.org/10.15284/kjdp.2021.28.1.140Henry, G. T., Mashburn, A. J., & Konold, T. (2021). Developing and evaluating a measure of you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school and learning.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5(3), 271-284. http://doi.org/10.1177/0734272912428182 - 단행본 또는 편저
- 단행본서적 전체 또는 장을 인용한 경우, 원 단행본명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김천란 (1975). 한국인의 언어생활. 서울: 불광사.김경민, 최영애 (2016). 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임영희, 김영수(편), 교사의 의사소통 (pp. 30-64). 대전: 청솔출판사.Miller, G. A. (1950). Language and communication. New York: McGraw-Hill.Osgood, C. E. (1983). Psycholinguistics. In S. Koch (E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pp. 244-416). New York: McGraw-Hill. - 학위논문
- 학위논문 제목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유종렬 (1997). 가족환경요인이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Davidson, H. (2014).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Open University, Pam City.Nolten, P. 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in, 1-2. - 번역서
- 번역서 제목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Robert, L, Leachy. (1995). 자아의 발달. 김기정(역). 서울: 문음사. (원본 발간일, 1985) - 보고서
- 보고서 제목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저자가 기관이나 단체인 경우 기관명 뒤에 약어가 아니라도 마침표를 찍는다.
- 외국문헌인 경우, 저자명과 출판사명이 기관명과 동일할 때 Author로 표기한다.
이동은, 박정현 (2016). 2016년 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정책연구소.한국보건연구소. (2014). 2014년 가족보건실태조사. 천안, 충남: 한국보건연구소.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Children survey 2013 (Report No. 2013-92). Seoul: Author. - 학술대회 자료
- 학술대회 자료집명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김나영, 최선희 (2015).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한국인간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38. - 신문, 미디어, 인터넷 자료
- (a) 신문이나 잡지의 경우
- 정기간행물명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하며, 일시와 수록면을 명시한다. 단, 맨 앞 저자명이 정기간행물명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고딕체로 표기하지 않는다.
현세민 (2016. 5. 3).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나라 가족실태. 대한일보, pp. A3, A4.대한일보 (2016. 5. 3). 가정의 달을 맞아 우리나라 가족실태. pp. A3, A4. - (b) 인터넷 자료의 경우
- 정기간행물명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 인터넷주소와 인출한 날짜를 명시하여야 한다. 단, 자료가 작성된 시점을 알 수 없을 때에는 (n.d.)로 표시하고 인출한 날짜를 명시한다.
- 국문 자료의 경우 인출한 날짜 뒤, 영문 자료의 경우 인터넷주소 뒤에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조태임 (2012. 2. 23). “알려야 소용없어” 학교폭력 쉬쉬…38%가 교실에서 발생.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7446460&ctg=1201에서 2013년 7월 10일 인출한겨레 (2012. 4. 19). 중학생 ‘자살위험’ 가장 높다 불안감 낮아도 극단적 행동.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28965.html에서 2012년 4월 19일 인출Kates, J. (2012, April 19). A spate of teenage suicides alarms Russian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pril 19, 2012, from http://www.nytimes.com/2012/04/20/world/europe/in-russia–spate-of-teenage-suicides-causes-alarm.html?_r=1&ref=global-homeNielsen, M. E. (n.d.). Notable people in psychology of religion. Global Chid Journal. Retrieved August 3, 2001, from http://www.psychology.com/psyrelig/psyrelpr.html - (c) TV나 라디오의 경우
- 방송 프로그램명을 국내문헌은 고딕체로, 외국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김철수(작가) (2016. 3. 18). 청소년의 이해. 부모공감프로그램. 서울: 서울문화방송
- (a) 신문이나 잡지의 경우
- 메타분석 시 참고한 부록의 경우
- 저자명 앞에 (*)표시를 붙여 일반적인 참고문헌 목록들과 구분하여 작성한다.
*홍길동(2016). 가족구조의 발달모형. 인간발달연구, 24(3), 130-155.*Werner, H.. & Chandler, K. A. (1950). Experiences on sensory-tonic fiel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2(2), 346-350.
- 학술지논문
아. 표와 그림
- 모든 그림(figure와 graph)이나 표(table)는 동판을 뜰 수 있거나 쉽게 재작성할 수 있는 형태(graph의 경우는 좌표값을 명시할 것)로 제시되어야 한다.
- 표와 그림 제목은 고딕 9p로, 그림 제목은 그림 하단에 가운데 정렬하며(예, 그림 1. 처치효과 상호작용의 도해), 표 제목은 표 상단에 왼쪽 정렬을 원칙으로 한다(예, 표 1. 조건별 평균 회상 반응수).
- 논문에 제시된 모든 표와 그림은 본문 중에 반드시 1회 이상 언급이 되어야 하며, 본문 내에 포함시키거나(예, 그림 1에서..., 표 1에서...) 기술한 문장 끝에 다음과 같이 괄호를 사용하여 언급한다. (예) ...다음과 같다(표 1 참조).
- 표는 가능한 간결하게 만들어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세로줄을 긋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주와 유의도는 그림 제목 하단 또는 표 하단에 표기하며, 그림과 표 안에도 반드시 유의도(*)를 윗 첨자로 표시한다.
- N이 필요한 경우에는 모든 표 오른쪽 상단에 N을 기재하도록 한다. (단, 표 안에는 n으로 기입)
자. 통계부호
- 숫자기입 시 세자리마다 콤마(,)처리를 한다. (예) N = 1,236
- 부호(= , <, > 등)는 앞뒤로 한 칸씩 띄어 쓴다. (예) r = .19
- 유의도(p), 적합도 수치를 제외하고는 소수점 두 자리까지만 반올림하여 제시한다.
- 유의도 (*)표시는 윗 첨자로 표시하며, p는 기울이고, 마침표로 구분해준다.
*p < .05. **p < .01. ***p < .001.
- 그리스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울여서 이탤릭체로 쓴다.
※ 그리스어 : α, β, Σ, μ, η2, λ,, ω2, ε2, χ2 (제곱승은 위첨자로 표시) 등이탤릭체 표기 p < .001 df = 32 B = .30 N = 100 t = - 1.05 SE B = .19 n = 50 r = .21 SS = .01 M = 3.12 R2 = .32 MS = 01 SD = 2.13 Cohen’s d = 1.35 F (1, 120) = 10.21 이탤릭체 표기 안함 Cronbach’s α = .90 ε2 = .38 GFI = .89 β = .45 ω2 = .54 CFI = .78 χ2(7) = 6.87 Σ = 1000 NFI = .91 λ = .35 μ = 3.83 RMSEA = .05 η2 = .12 ⊿ (변화량) 95% CI [1.33, 1.65]